맨위로가기

아우디 V8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디 V8은 1988년 아우디의 플래그십 모델로 출시되었다. 100/200(C3계)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V형 8기통 DOHC 엔진과 아우디 최초의 사륜 구동 시스템을 탑재했다. 1990년과 1992년 두 차례의 마이너 체인지를 거쳤으며, 1994년 아우디 A8로 모델이 변경되었다. DTM(독일 투어링카 마이스터샤프트)에 출전하여 1990년과 1991년 2년 연속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나, 1992년 규정 위반으로 인해 철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도입된 자동차 - 쌍용 코란도 훼미리
    쌍용 코란도 훼미리는 쌍용자동차에서 생산된 SUV 차량으로 다양한 엔진과 사양으로 출시되었으며, 4륜 구동 방식과 초기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에서 5링크 코일 스프링으로 변경된 서스펜션을 채택하고, 여러 미디어 작품에 등장하여 대중에게 알려졌다.
  • 1988년 도입된 자동차 - 닛산 시마
    닛산 시마는 1988년에 출시되어 일본 버블 경제 시기에 인기를 얻은 닛산의 고급 세단으로, 여러 차례의 모델 변화와 해외 수출, 그리고 닛산 푸가의 롱 휠베이스 버전으로 부활했지만 2022년에 단종되었다.
  • 아우디의 차종 - 아우디 A7
    아우디 A7은 아우디 A6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매끈한 루프 라인을 가진 4도어 쿠페 스타일 스포츠백으로, 메르세데스-벤츠 CLS 클래스, BMW 6 시리즈 그란 쿠페와 경쟁하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고성능 모델을 갖추고 2세대부터는 아우디 최초로 무빙 라이트가 적용되었으며 중국 시장에는 롱 휠베이스 세단형 A7L도 출시되었다.
  • 아우디의 차종 - 아우디 Q7
    아우디 Q7은 2005년부터 생산된 아우디의 대형 SUV로, 폭스바겐 그룹 PL71 플랫폼을 공유하며 포르쉐 카이엔, 폭스바겐 투아렉과 형제 모델이고, 가솔린 및 디젤 엔진 라인업, 콰트로 사륜구동 시스템, 페이스리프트를 통한 디자인, 편의사양, 파워트레인 개선을 특징으로 한다.
  • 플래그십 차량 - 닛산 시마
    닛산 시마는 1988년에 출시되어 일본 버블 경제 시기에 인기를 얻은 닛산의 고급 세단으로, 여러 차례의 모델 변화와 해외 수출, 그리고 닛산 푸가의 롱 휠베이스 버전으로 부활했지만 2022년에 단종되었다.
  • 플래그십 차량 - 렉서스 LS
    렉서스 LS는 1989년부터 생산된 렉서스의 기함급 세단으로, 정숙성, 편의성, 품질을 강점으로 고급차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현재 5세대 모델이 판매 중이다.
아우디 V8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우디 V8
제조사아우디 AG
생산 기간1988년 10월 – 1993년 11월
조립 공장네카줄름, 독일
관련 차종아우디 100/200
후속 차종아우디 A8
차급대형 고급차
차체 형태4도어 세단
구동 방식세로배치 앞 엔진
콰트로 풀타임 네바퀴굴림
플랫폼폭스바겐 그룹 D1 (aka D11)
디자이너에르빈 레오 히멜 (1984년)
엔진
엔진 종류3.6 L PT V8
4.2 L ABH V8
변속기
변속기 종류4단 ZF 4HP24A 자동
5단 수동 (3.6 V8)
6단 수동 (4.2 V8)
크기
휠베이스단축형: 2702 mm
장축형: 3020 mm
전장단축형: 4861 mm
장축형: 5190 mm
전폭1814 mm
전고1420 mm
차량 중량3.6: 1710 kg
4.2: 1810 kg (콰트로)
장축형: 1770 kg
기타 정보
플랫폼폭스바겐 그룹 D 플랫폼
차량 형식4C

2. 역사

아우디 V8은 32 밸브, 듀얼 오버헤드 캠샤프트 (DOHC) V8 엔진[6]과 아우디의 콰트로 영구 사륜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4단 전자 제어 ZF 4HP24A 자동변속기가 표준 사양이었다.[1] 5단(생산 후반에는 6단) 수동변속기도 제공되었다.[2][3]

1990년에는 플랫폼을 아우디 100(C4 모델) 기반으로 변경하는 마이너 체인지를 단행했다. 이에 따라 전장, 휠베이스 등에 약간의 변경이 있었지만, 외관은 유지되었다. 동시에 롱 휠베이스 버전도 출시되었다. 1992년에는 두 번째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엔진을 4.2L로 확대하여 최고 출력을 280마력으로 향상시켰다.

1994년, '''A8'''로 모델 체인지되면서 "A#"의 새로운 명칭이 채용되었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독일 투어링카 마스터즈(DTM)에 출전했다. 당시 DTM은 D세그먼트 차량(메르세데스-벤츠 190E 2.5-16이나 BMW M3 등)이 주력이었으며, F세그먼트 차량인 아우디 V8의 참가는 이례적인 일이었다.

V8 DTM 사양은 무거운 차체에 강력한 엔진을 탑재하고 사륜구동의 핸디캡으로 인해 다른 경쟁사 차량보다 180~300kg 더 무거운 최저 중량을 적용받았다. 그러나 한스요아힘 스턱이나 프랑크 비엘라 등의 활약으로 1990년과 1991년, 2년 연속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992년, 아우디는 엔진의 크랭크축을 시판차에 사용되는 크로스 플레인에서 플랫 플레인으로 변경했다. 아우디는 이것이 시판품을 재단조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규정 위반으로 간주되어 DTM에서 철수했다.

2. 1. 개발 배경

1988년, 아우디의 플래그십 모델로 등장했다. 아우디 V8은 100/200(C3계)의 플랫폼을 활용하였고, 앞 유리, 앞문, 트렁크 리드 등의 부품은 C3계와 공유한다.

엔진은 새롭게 설계된 V형 8기통 DOHC (포캠) 엔진을 탑재하여 3.6L의 배기량으로 250마력을 냈다. 구동 방식은 이 등급 최초의 사륜 구동이었다. 변속기VW 아우디 그룹 최초의 4단 AT를 채용했으며, 전년도에 출시된 80(B3계)과 마찬가지로 오조작 방지를 위해 지그재그 형태의 스태거드식 게이트를 채택했다.

또한, 이 차량을 기반으로 한 스테이션 왜건도 1대 제조되어 당시 폭스바겐의 대표였던 페르디난트 피에히의 아내 전용차로 제작되었다. 본국 사양에는 롱 보디 사양도 존재했다.

아우디 V8은 아연도금 강철 차체를 사용했으며, 10년 부식 방지 보증을 제공했다.[4] 최고급 '플래그십' 차량으로 설계되었으며, 가죽 시트와 아우디의 콰트로 사륜구동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고급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했다.[6] 아우디 V8은 회사에 새로운 이미지를 부여하여 메르세데스-벤츠BMW와 같은 기존 경쟁업체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5] 이러한 측면에서, 이 차는 오늘날의 아우디 브랜드 역사를 발전시키는 초석이 되었다.[5]

공장 생산은 1988년 10월에 시작되어 1993년 11월에 종료되었지만,[6] 완성된 차량의 판매는 1994년까지 계속되었다. 1994년에 아우디 A8로 대체되었다.[7][8][9]

2. 2. 모델 출시 및 변화

아우디 V8은 32 밸브, 듀얼 오버헤드 캠샤프트 (DOHC) V8 엔진[6]과 아우디의 콰트로 영구 사륜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4단 전자 제어 ZF 4HP24A 자동변속기를 표준 사양으로 제공했다.[1] 5단(생산 후반에는 6단) 수동변속기도 제공되었다.[2][3]

아우디 V8은 아연도금 강철 차체를 사용했으며, 10년 부식 방지 보증을 제공했다.[4] 최고급 '플래그십' 차량으로 설계되었으며, 가죽 시트와 아우디의 콰트로 사륜 구동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고급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했다.[6] 아우디 V8은 회사에 새로운 이미지를 부여하여 메르세데스-벤츠BMW와 같은 기존 경쟁업체에 대한 실행 가능한 대안을 제시했다.[5]

공장 생산은 1988년 10월에 시작되어 1993년 11월에 종료되었지만,[6] 완성된 차량의 판매는 1994년까지 계속되었다. 1994년에 아우디 A8로 대체되었다.[7][8][9]

1988년, 아우디의 플래그십 모델로 등장했으며, 100/200(C3계)의 플랫폼을 활용하고, 앞 유리, 앞문, 트렁크 리드 등의 부품은 C3계와 공용했다. 엔진은 신설계된 V형 8기통 DOHC (포캠) 엔진을 탑재하여 3.6L의 배기량으로 250마력을 발생시켰다. 구동 방식은 이 클래스 최초의 사륜 구동이었다. 변속기VW 아우디 그룹 최초의 4단 AT를 채용했으며, 80(B3계)과 마찬가지로 오조작 방지를 위해 지그재그 형태의 스태거드식 게이트를 채용했다.

본 차량을 기반으로 한 스테이션 왜건도 1대 제조되어 당시 폭스바겐의 대표였던 페르디난트 피에히의 아내의 전용차로 제작되었다. 또한, 본국 사양에는 롱 보디 사양도 존재했다.

1990년에 마이너 체인지를 실시하여 플랫폼을 아우디 100(C4 모델)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변경했다. 이에 따라 전장, 휠베이스 등에 약간의 변경이 있었지만, 외관의 변경은 없었다. 동시에 롱 휠베이스 버전을 출시했다.

1992년에 두 번째 마이너 체인지를 실시하여 엔진을 4.2L로 확대, 최고 출력은 280마력으로 향상되었다.

1994년, '''A8'''로 모델 체인지되어, 이 모델부터 현재에 이르는 "A#"의 새로운 명칭이 채용되었다.

1989년 말, 야나세를 통해 일본에 출시되었다. 라인업은 4단 자동변속기 사양뿐이었다(본국에서는 5단 MT가 기본). 우핸들 사양의 V8은 생산되었지만, 일본 판매용은 좌핸들 사양만 출시되었다. 980만 엔이라는 가격은 출력 면에서 약간 아래인 BMW 735i나, 메르세데스-벤츠 300SE와 비슷한 수준으로, 동급 수입차에 비해 경쟁력 있는 가격이었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 토요타 셀시오와 닛산 인피니티 Q45는 더욱 저렴한 가격에 V8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갖추었기 때문에, 인지도와 화제성을 완전히 빼앗기는 형국이 되었다.

1991년에 플랫폼 변경, 1992년에 엔진 교체 및 듀얼 에어백 장착의 마이너 체인지를 실시했지만, 같은 시기에 메르세데스는 S클래스의 풀 모델 체인지를 실시하고, BMW도 V8 엔진을 투입하는 등 공세를 강화하면서 판매 부진을 겪어, 1993년 모델을 마지막으로 판매를 중단했다.

일본에서 판매된 모델은 다음과 같다.

모델명엔진배기량출력토크변속기
V8 콰트로(1989년-1991년)V형 8기통 DOHC3,562cc250ps/5,800rpm34.7kg·m/4,000rpm4단 AT
V8 콰트로(1991년-1993년)V형 8기통 DOHC4,172cc280ps/5,800rpm40.7kg·m/4,000rpm4단 AT


2. 3. 대한민국 시장

아우디 V8은 1989년 말, 야나세를 통해 대한민국 시장에 출시되었다. 일본 버블 경제 절정기에 출시된 V8은 4단 자동변속기 사양만 판매되었으며(본국에서는 5단 MT가 기본), 우핸들 사양이 아닌 좌핸들 사양만 출시되었다. 당시 980만 엔이라는 가격은 BMW 735i나 메르세데스-벤츠 300SE와 비슷한 수준으로, 동급 수입차에 비해 경쟁력 있는 가격이었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 토요타 셀시오와 닛산 인피니티 Q45가 더 저렴한 가격에 V8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갖추고 출시되어, 아우디 V8은 인지도와 화제성을 빼앗기게 되었다.

1991년에 플랫폼 변경을 포함한 마이너 체인지, 1992년에 엔진 교체 및 듀얼 에어백 장착 등의 마이너 체인지를 실시했지만, 메르세데스-벤츠가 S클래스의 풀 모델 체인지를 실시하고 BMW도 V8 엔진을 도입하면서 판매 부진을 겪었고, 결국 1993년 모델을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시장에서 판매가 중단되었다.

V8 콰트로의 대한민국 시장 판매 제원은 다음과 같다.

모델명엔진배기량최고 출력최대 토크변속기
V8 콰트로 (1989년-1991년)V형 8기통 DOHC3,562cc250ps/5,800rpm34.7kg·m/4,000rpm4단 AT
V8 콰트로 (1991년-1993년)V형 8기통 DOHC4,172cc280ps/5,800rpm40.7kg·m/4,000rpm4단 AT


3. 디자인

아우디 V8은 아연도금 강철 차체를 사용했으며, 10년 부식 방지 보증을 제공했다.[4] 메르세데스-벤츠, BMW와 경쟁하기 위해 출시된 최고급 '플래그십' 차량으로, 가죽 시트와 아우디의 콰트로 사륜구동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고급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했다.[6] 이를 통해 아우디는 브랜드 이미지를 새롭게 하고, 기존 경쟁사들의 대안으로 떠오르며 오늘날 아우디 브랜드 역사의 초석을 다졌다.[5]

3. 1. 외관

아우디 V8은 ''Typ'' 44 아우디 100 및 아우디 200 모델의 차체를 확대한 버전을 사용했으며,[6][10] 폭스바겐 그룹 C3 자동차 플랫폼을 늘린 버전인 D1 또는 D11[7][10]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아우디 V8은 보닛에 부착된 독특한 그릴, 새로운 범퍼 및 헤드라이트, 전체 빨간색 테일 램프, 12mm 연장된 휠베이스, 더 넓은 윤거, 뚜렷한 펜더, 그리고 더 많은 나무 트림으로 아우디 100/200과 차별화되었다. 또한, 15~17인치 크기의 합금 휠만 제공되었다.[10][11]

표준 길이 모델 외에도, V8의 롱 휠베이스 (LWB, Lang|랑de) 버전도 있었다. 이러한 전통은 "A8L" 형식으로 제공되는 A8에서도 이어졌다.[10]

전 아우디 CEO 페르디난트 피에히의 부인을 위해 한 번 제작된 실험적인 아방(왜건) 버전이 있었다. 이 차량은 현재 아우디 포럼 잉골슈타트에는 전시되지 않고, 네카르줄름에 보관되어 있다.[10][12]

3. 2. 실내

아우디 V8 실내


아우디 V8은 8개의 스피커를 갖춘 보스(Bose Corporation) 오디오 시스템, 호두나무 우드 트림, 가죽 실내, 열선 시트 등 다양한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했다. 제공된 색상으로는 펄 화이트, 라고 블루(청록색), 블루 마이카, 토네이도 레드, 블랙 등이 있었으며, 모든 페인트 마감은 펄 또는 메탈릭이었다. 다른 기본 및 선택 사양 기능은 표준 기능 목록을 참조하면 된다.[6]

4. 기술적 특징

아우디 V8은 32밸브, DOHC V8 엔진[6]과 아우디 콰트로 영구 사륜구동 시스템을 기본 사양으로 제공했다. 변속기는 4단 전자 제어 ZF 4HP24A 자동변속기[1]와 5단(생산 후반에는 6단) 수동변속기[2][3]가 제공되었다.

파워트레인[6]은 두 가지 종류의 알루미늄 합금 내연 기관을 선택할 수 있었다. 구동계는 아우디의 '상징'인 콰트로 영구(또는 반영구, 기어박스 유형에 따라 다름) 사륜구동 시스템이 유일한 옵션이었다.[1]

아우디 V8에는 랙 앤 피니언 방식의 파워 보조 스티어링(PAS)이 표준으로 장착되었다. 전자식 가변 보조 '서보트로닉' 버전도 선택 사양이었다.[6] 디스크 브레이크는 전후륜 모두 방사형 통풍식 고성능 브레이크 시스템이 장착되었다.[6] 전면 브레이크는 콘티넨탈 AG에서 설계했으며, 직경 310mm에 두께 25mm로, 캘리퍼가 디스크 내부에 장착된 특이한 구조였다.[18][19] 또한, 전면 브레이크에는 전자식 브레이크 패드 마모 센서가 포함되었다. 후면 브레이크는 269mm x 20mm였으며 케이블 작동식 주차 브레이크가 포함되었다. 보쉬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BS)도 기본 사양이었다.[20]

기본 휠은 '에어로' 스타일의 경량 합금 휠에 215/60 R15 스틸 벨트 래디얼 타이어가 장착되었다. 선택 사양으로 또는 크기의 BBS에서 공급받은 (아우디 센터 캡 배지 포함) 멀티 스포크 합금 휠도 제공되었다.[6]

표준 길이 모델 외에 V8의 롱 휠베이스 (LWB, 독일어로 'Lang') 버전도 있었으며, A8에서도 "A8L" 형식으로 제공되었다.[10]

4. 1. 엔진

아우디 V8은 두 가지 종류의 완전히 새로운 알루미늄 합금 내연 기관을 탑재했다. 두 엔진 모두 가솔린 엔진이며, 32밸브(실린더당 4개의 흡기 밸브)를 갖춘 V8 구성에 듀얼 밸브 스프링과 4개의 오버헤드 캠샤프트 (DOHC)가 적용되었다.[13] 이 디자인은 향후 아우디에서 개발한 폭스바겐 그룹 V8 엔진의 패턴을 정립했다. 모든 알루미늄 합금 실린더 블록을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기존 재료는 회주철) 캠샤프트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구동되었다. 합성 고무/케블라 치형 타이밍 벨트크랭크축 전면에서 구동되어 각 뱅크의 배기 캠샤프트만 작동시켰다. 그런 다음 흡기 캠샤프트는 배기 캠샤프트에서 단순형 롤러 체인을 통해 작동했다. 오른쪽 뱅크(실린더 1–4)는 엔진 후면에, 왼쪽 뱅크(실린더 5–8)는 엔진 전면, 즉 타이밍 벨트 바로 뒤에 위치했다. 이 방법은 타이밍 벨트 레이아웃의 복잡성을 줄여 아이들러 롤러 및 가이드와 같은 부품 수를 줄였으며, 타이밍 벨트 및 관련 부품의 유지보수를 더 쉽고 저렴하게 만들었다. 타이밍 벨트 교체 주기는 3.6 V8 (PT)은 90000km마다,[13] 4.2 V8 (ABH)은 120000km마다 교체해야 했다.[13] 서모스탯으로 제어되는 전기 냉각 팬도 표준이 되어 초기 차량의 엔진 구동 점성 팬 클러치를 대체했다. 이는 엔진 냉각수 라디에이터뿐만 아니라 더 작은 모터 오일 쿨러에도 강제 기류를 제공했다.[4]

두 엔진 모두 보쉬의 모트로닉(Motronic)[8][13][14] 완전 전자식 엔진 제어 장치(ECU)를 사용했으며, 실린더 뱅크 선택적 노킹 제어,[13] 듀얼 배럴 스로틀 밸브, 흡입 공기량 계량 및 배기 가스 온도 센서를 통한 람다 혼합 제어, 무연 휘발유가 필요했다. 연료는 8개의 흡기 매니폴드에 장착된 전자식 연료 분사 장치를 통해 연소실로 공급되었으며, 두 개의 공용 연료 레일(실린더 뱅크당 하나)에서 공급받아 엔진의 점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화' 또는 활성화되었다. 3.6 V8은 95 RON (91 AKI) 연료를 사용할 수 있었지만, 4.2 V8의 경우, 인용된 출력 값을 얻기 위해서는 더 비싼 98 RON (93 AKI) '슈퍼플러스' 무연 휘발유가 필요했다.[13] 4.2 V8에서 95 RON을 사용하면 출력 저하와 연료 소비 증가가 발생했다.[13]

아우디 V8 출시 당시 유일하게 제공된 것은 3562cc의 배기량을 가진 3.6리터 파워트레인이었다.[7][8] DIN 기준으로 최대 의 출력을 5,800 분당 회전수(rpm)에서 내도록 평가되었으며,[7] 4,000rpm에서 의 토크 회전력을 생성했다.[8] 1991년 8월, 아우디는 기존 3.6리터 V8을 보완하기 위해 의 배기량을 가진 4.2리터 엔진을 출시했다.[14] 이는 3.6 V8과 많은 부품을 공유했으며, 4.2 엔진은 아우디 S4(일명 ''Ur-S4'')에서 사용된 옵션 V8과 동일했으며, 동일한 정격 출력 및 ABH 식별 코드를 공유했다. 3.6 V8 모델과 마찬가지로 기존 4단 자동 변속기를 계속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6단 수동 변속기가 5단 수동 변속기를 대체했다.[6]

엔진 (코드)[6][16]배기량, 엔진 형식
밸브 기구
연료 등급최대 출력
rpm (DIN 80/1269/EWG)[13]
최대 토크
at rpm
변속기0-최고 속도제조 기간
3.6 V8 (PT)3,562 cc V8 엔진
32 밸브 DOHC
95 RON (91 AKI)
가솔린

@ 5,800

@ 4,000[8]
4단 ZF 4HP24A 자동변속기
5단 수동
9.9 [7]
7.6 초*[8][13]
[7]
*[8][13]
1988년 10월
÷
1993년 11월
4.2 V8 (ABH)4,172 cc V8 엔진
32 밸브 DOHC
98 RON (93 AKI)
무연 가솔린

@ 5,800

@ 4,000[14]
4단 ZF 4HP24A 자동
6단 수동
7.7 초‡[13][14]
6.8 초*[13][14]
[13]1991년 8월
÷
1993년 11월
‡ = 자동 변속기 장착   * = 수동 변속기 장착



1992년에 두 번째 마이너 체인지를 실시하여 엔진을 4.2L로 확대, 최고 출력은 280마력으로 향상되었다.

4. 2. 변속기

아우디 V8의 표준 사양으로는 32밸브, 듀얼 오버헤드 캠샤프트 (DOHC) V8 엔진[6]과 아우디의 콰트로 영구 사륜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4단 전자 제어 ZF 4HP24A 자동변속기가 포함되었다.[1] 5단(생산 후반에는 6단) 수동변속기도 제공되었다.[2][3]

ZF 프리드리히스하펜에서 공급된 4단 4HP24A 자동변속기는 V8 생산 기간 동안 제공되었다. 자동변속기는 "S" - 스포츠, "E" - 경제, "M" - 수동 작동의 세 가지 모드를 가지고 있었다. S 모드는 E 모드보다 더 높은 RPM에서 기어를 변경하며, M 모드는 운전자가 레버를 사용하여 기어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17] 3.6 모델에는 5단 수동 기어박스가, 4.2 모델에는 6단 수동 변속기가 제공되었다. 두 수동 변속기 모델 모두 240mm 단판 클러치를 사용했다.[17]

아우디 V8 변속기 세부 정보는 아래 표에 나와 있다:[6]

변속기 유형
식별기어비
부품
코드
ID
코드
1단2단3단4단5단6단후진종감속비
4단 자동변속기018AKD, AYU, AZG2.4801.4801.0000.7282.0864.111
5단 수동변속기016AWW3.5001.8891.2310.9030.7302.2004.111
6단 수동01ECBM,
CBN
3.5001.8891.3201.0340.857 (CBM),
0.806 (CBN)
0.730 (CBM),
0.684 (CBN)
2.7504.111


4. 3. 구동 방식

아우디 V8의 표준 사양은 32밸브, 듀얼 오버헤드 캠샤프트 (DOHC) V8 엔진[6]과 아우디 콰트로 영구 사륜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4단 전자 제어 ZF 4HP24A 자동변속기였다.[1] 5단(생산 후반에는 6단) 수동변속기도 제공되었다.[2][3]

파워트레인[6] 세부 사항은 두 개의 완전히 새로운 알루미늄 합금 내연 기관 중 하나였다. 둘 다 가솔린 엔진이며, 멀티 밸브 32밸브(실린더당 4개의 흡기 밸브)를 갖춘 V8 구성에 듀얼 밸브 스프링과 4개의 오버헤드 캠샤프트 (DOHC)가 적용되었다.[13]

아우디의 '상징'인 콰트로 영구(또는 반영구, 기어박스 유형에 따라 다름) 사륜구동 시스템이 구동계의 유일한 옵션이었다.[1] 엔진 토크를 전후 액슬 간에 '기본' 50:50으로 분배하지만, 자동으로 20:80에서 80:20 사이로 동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1] 자동 변속기는 유압식 다판 클러치를 사용하여 전후 액슬 간에 구동력을 분배하는 반면,[1][10] 수동 변속기 모델은 토센 타입 1 토크 감지 센터 디퍼렌셜을 사용한다.[1] 후방 액슬 최종 구동 장치에는 일반적인 하이포이드 개방형 디퍼렌셜 대신 토센 타입 1 토크 감지 디퍼렌셜이 포함되어 있다.[1][10]

일본에서는 1989년 말, 버블 경제 절정기에 야나세를 통해 출시되었다. 라인업은 4단 자동변속기 사양뿐이었다(본국에서는 5단 MT가 기본).[2][3]

모델명엔진배기량최고 출력최대 토크변속기
V8 콰트로(1989년-1991년)V형 8기통 DOHC3,562cc250ps/5,800rpm34.7kg·m/4,000rpm4단 AT
V8 콰트로(1991년-1993년)V형 8기통 DOHC4,172cc280ps/5,800rpm40.7kg·m/4,000rpm4단 AT


4. 4. 기타

아우디 V8은 32밸브, DOHC V8 엔진[6]과 아우디의 콰트로 영구 사륜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4단 전자 제어 ZF 4HP24A 자동변속기를 표준 사양으로 제공했다.[1] 5단(생산 후반에는 6단) 수동변속기도 제공되었다.[2][3]

아우디 V8은 아연도금 강철 차체를 사용했으며, 10년 부식 방지 보증을 제공했다.[4] 최고급 '플래그십' 차량으로 설계되었으며, 가죽 시트와 아우디의 콰트로 사륜구동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고급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했다.[6] 아우디 V8은 회사에 새로운 이미지를 부여하여 메르세데스-벤츠BMW와 같은 기존 경쟁업체에 대한 대안을 제공했다.[5]

표준 길이 모델 외에도, V8의 롱 휠베이스 (LWB, 독일어로 'Lang') 버전도 있었다. 이 모델은 그라츠에 있는 슈타이어-다임러-푸흐 공장에서 조립되었다.[10] 이러한 전통은 "A8L" 형식으로 제공되는 A8에서도 이어졌다.[10]

전 아우디 CEO 페르디난트 피에히의 부인을 위해 한 번 제작된 실험적인 아방(왜건) 버전이 있었다. 이 차량은 현재 아우디 포럼 잉골슈타트에는 전시되지 않고, 네카르줄름에 보관되어 있다.[10][12]

아우디 V8에는 표준으로 랙 앤 피니언 방식의 파워 보조 스티어링 (PAS)이 장착되었다. 전자식 가변 보조 '서보트로닉' 버전도 사용할 수 있었다.[6] 또한 방사형 통풍식 디스크 브레이크가 전후에 장착된 고성능 브레이크 시스템이 장착되었다.[6] 보쉬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ABS)도 기본으로 제공되었다.[20]

기본 휠은 '에어로' 스타일의 경량 합금 휠에 215/60 R15 스틸 벨트 래디얼 타이어가 장착되었다. 옵션으로 BBS에서 공급받은 (아우디 센터 캡 배지 포함) 멀티 스포크 합금 휠도 제공되었다.[6]

아우디 V8은 8개의 스피커를 갖춘 보스(Bose Corporation) 오디오 시스템, 호두나무 우드 트림, 가죽 실내, 열선 시트 등 다양한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했다. 제공된 색상으로는 펄 화이트, 라고 블루(청록색), 블루 마이카, 토네이도 레드, 블랙 등이 있었다. 모든 페인트 마감은 펄 또는 메탈릭이었다.[6]

아우디 V8의 기본 제공 표준 기능:[4]

  • 도난 방지 차량 경보 시스템
  • 운전자 정면 에어백 (1991년부터 앞좌석 동승자 에어백)
  • 앞 & 뒤 3점식 안전 벨트
  • 프로콘 텐 안전 시스템
  • 어린이 안전 도어 잠금 장치
  • 구급 상자 (뒷좌석 암레스트 내장)
  • 양면 아연 도금 차체
  •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
  • 전자식 크루즈 컨트롤
  • 전동식 사이드 미러 (전동 열선 포함)
  • 뒷좌석 창문 사용 금지 기능이 있는 전동 윈도우
  • 전동 중앙 잠금 시스템
  • 트립 정보 컴퓨터 (6가지 기능)
  • 라디오 기능 표시와 자동 점검 시스템
  • 확장 가능한 보관함/스키 가방
  • 유색 유리
  • 뒷유리 서리 제거기
  • 실내 조명 지연 기능
  • 조명 화장 거울, 트렁크, 엔진룸, 글로브 박스, 라이터 및 재떨이
  • 아우디/보스 8 스피커 오디오 시스템
  • GSM 셀룰러 전화 (핸즈프리 기능 포함, 앞좌석 암레스트 내장)
  • 호두나무 트림, 직조 양모 카펫
  • 4방향 운전자 메모리 기능의 전동 앞좌석
  • 전동 열선 내장 앞 & 뒷좌석
  • 공기역학적 할로겐 헤드램프 (와이퍼/워셔 시스템 포함)
  • 간헐 모드 및 열선 내장 윈드실드 워셔 노즐이 있는 앞 유리 와이퍼
  • 앞 & 뒤 안개등


아우디 V8의 선택 사양:[4]

  • 전동식 도어 잠금 실린더
  • 허벅지 지지대 연장 기능이 있는 스포츠 앞좌석
  • 전동식 뒷유리 롤러 선블라인드, 수동식 뒷좌석 롤러 선블라인드
  • 베바스토(Webasto) 연료 연소식 실내 히터

5. 모터스포츠

아우디는 그룹 A 규정에 맞춰 V8의 경쟁 버전을 개발하여 독일 투어링카 마이스터샤프트(DTM)에 참가했다. DTM 사양의 V8은 다소 무거운 차체에 파워를 높인 엔진을 탑재하고, 사륜구동의 핸디캡으로 인해 무거운 최저 중량을 설정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스요아힘 슈툭과 프랑크 비엘라 등 뛰어난 드라이버들의 활약으로 1990년과 1991년에 2년 연속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21][22][23][24][25]

1992년, 아우디는 엔진 크랭크축을 시판 차량의 크로스 플레인에서 플랫 플레인으로 변경했다. 아우디는 시판품을 재단조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규정 위반으로 간주되어 DTM에서 철수했다.[25]

5. 1. DTM 참가

아우디 V8 DTM


아우디는 그룹 A 규정에 맞춰 아우디 V8의 경쟁 버전을 개발하여 독일 투어링카 마이스터샤프트(DTM) 자동차 경주 시리즈에 참가했다. 이 차량은 309kW (후에 340kW)의 3.6 V8 엔진과 6단 수동 변속기를 장착했다. 1990년부터 Schmidt MotorSport(SMS)가 운영을 맡고 한스요아힘 슈툭, 발터 뢰를, 프랭크 옐린스키가 드라이버로 나섰다.[21][22] 1990년 DTM 시즌에는 세 팀이 호켄하임링 레이스에서 1위, 2위, 3위를 모두 차지했다.[23] 슈툭이 챔피언십에서 우승했고, 다음 해 아우디는 Audi Zentrum Reutlingen(AZR)이라는 두 번째 팀을 추가했다. SMS는 슈툭과 옐린스키와 함께 했고, AZR은 프랭크 비엘라와 후베르트 하우프트가 운전했다. 비엘라는 1991년에 아우디에 또 다른 챔피언십을 안겨주었지만, 1992년에는 타이틀을 방어하지 못했다.[24][22][25]

1992년 시즌을 위해 아우디는 내연 기관의 엔진을 180° 플랫 플레인 크랭크축을 사용하도록 변경했는데, 아우디는 이를 양산 모델에 사용된 90° 크로스플레인 부품에서 재-단조 및 변형했다고 밝혔다. DTM 주최측은 이처럼 크게 개조된 크랭크축이 원래의 호몰로게이션 표준 크랭크축에서 벗어났다고 판단하여 불법으로 간주했다. 아우디는 결국 챔피언십에서 철수했다.[25]

DTM에 참가하는 동안 아우디 V8은 훨씬 작고 약 300kg 가벼운 메르세데스-벤츠 190, BMW M3, 그리고 약간 더 작은 오펠 오메가 3000과 경쟁했다. 이 차량들은 모두 V8 엔진이나 4륜 구동을 장착하지 않았다.[26]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독일 투어링카 마스터즈(DTM)에 출전했다. 이 시기의 DTM은 D세그먼트 클래스 차량(메르세데스-벤츠 190E 2.5-16나 BMW M3 등)이 주력이었으며, 크기가 두 배나 다른 F세그먼트 차량이 참가하는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

다소 무거운 차체에 파워를 높인 엔진을 탑재한 DTM 사양의 V8은 사륜구동의 핸디캡으로 인해, 연도나 라운드에 따라 다르지만 다른 두 회사에 비해 180~300kg이라는 매우 무거운 최저 중량을 설정받았다. 그러나 한스요아힘 스턱이나 프랑크 비엘라 등 뛰어난 드라이버들의 활약에 힘입어 1990년, 1991년 2년 연속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992년, 아우디는 엔진의 크랭크축을 시판차에 사용되는 크로스 플레인에서 플랫 플레인으로 변경했다. 아우디는 이 크랭크축이 시판품을 재단조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규정 위반으로 간주되었다. 그 결과, 아우디는 DTM에서 철수했다.

5. 2. DTM 성적

아우디는 그룹 A 규정에 맞춰 아우디 V8의 경쟁 버전을 개발하여 독일 투어링카 마이스터샤프트(DTM) 자동차 경주 시리즈에 참가했다. 이 차량은 309kW(후에 340kW)의 3.6 V8 엔진과 6단 수동 변속기를 장착했다. 1990년부터 Schmidt MotorSport(SMS)가 운영을 맡고 한스요아힘 슈툭, 발터 뢰를, 프랭크 옐린스키가 드라이버로 나서면서 경주를 시작했다.[21][22] 1990년 DTM 시즌에는 세 팀이 호켄하임링 레이스에서 1위, 2위, 3위를 모두 차지했다.[23] 슈툭이 챔피언십에서 우승했고, 다음 해 아우디는 Audi Zentrum Reutlingen(AZR)이라는 두 번째 팀을 추가했다. SMS는 슈툭과 옐린스키와 함께 했고, AZR은 프랭크 비엘라와 후베르트 하우프트가 운전했다. 비엘라는 1991년에 아우디에 또 다른 챔피언십을 안겨주었지만, 1992년에는 타이틀을 방어하지 못했다.[24][22][25]

1992년 시즌을 위해 아우디는 내연 기관의 엔진을 180° 플랫 플레인 크랭크축을 사용하도록 변경했는데, 아우디는 이를 양산 모델에 사용된 90° 크로스플레인 부품에서 재단조 및 변형했다고 밝혔다. DTM 주최측은 이처럼 크게 개조된 크랭크축이 원래의 호몰로게이션 표준 크랭크축에서 벗어났다고 판단하여 불법으로 간주했다. 아우디는 결국 챔피언십에서 철수했다.[25]

DTM에 참가하는 동안 아우디 V8은 훨씬 작고 가벼운 메르세데스-벤츠 190, BMW M3, 그리고 약간 더 작은 오펠 오메가 3000과 경쟁했다. 이 차량들은 모두 V8 엔진이나 4륜 구동을 장착하지 않았다.[26]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독일 투어링카 마스터즈(DTM)에 출전한 아우디 V8은 당시 D세그먼트 차량(메르세데스-벤츠 190E 2.5-16나 BMW M3 등)이 주력이던 DTM에서 F세그먼트 차량으로 참가하는 전례 없는 일이었다.

다소 무거운 차체에 파워를 높인 엔진을 탑재한 DTM 사양의 V8은 사륜구동의 핸디캡으로 인해, 연도나 라운드에 따라 다르지만 다른 두 회사에 비해 180~300kg이라는 매우 무거운 최저 중량을 설정받았다. 그러나 한스요아힘 스턱이나 프랑크 비엘라 등 뛰어난 드라이버들의 활약에 힘입어 1990년, 1991년 2년 연속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992년, 아우디는 엔진의 크랭크축을 시판차에 사용되는 크로스 플레인에서 플랫 플레인으로 변경했다. 아우디는 이 크랭크축이 시판품을 재단조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규정 위반으로 간주되었다. 그 결과, 아우디는 DTM에서 철수했다.

6. 평가 및 영향

아우디 V8은 32 밸브, 듀얼 오버헤드 캠샤프트 (DOHC) V8 엔진[6]과 아우디의 콰트로 영구 사륜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4단 전자 제어 ZF 4HP24A 자동변속기를 표준 사양으로 제공했다.[1] 생산 후반에는 6단 수동변속기도 제공되었다.[2][3]

아우디 V8은 아연도금 강철 차체를 사용했으며, 10년 부식 방지 보증을 제공했다.[4] 최고급 '플래그십' 차량으로 설계되었으며, 가죽 시트와 아우디의 콰트로 사륜구동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고급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했다.[6] (표준 기능 목록 참조).[5]

아우디 V8은 메르세데스-벤츠BMW와 같은 기존 경쟁업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며, 회사에 새로운 이미지를 부여했다.[5] 이러한 점에서 아우디 V8은 오늘날의 아우디 브랜드 역사를 발전시키는 초석이 되었다.[5]

공장 생산은 1988년 10월에 시작되어 1993년 11월에 종료되었지만,[6] 완성된 차량의 판매는 1994년까지 계속되었다. 1994년에 아우디 A8로 대체되었다.[7][8][9]

참조

[1] 웹사이트 Das quattro-Getriebe im V8 (''The quattro transmission in the V8'') http://www.audiv8.co[...] 2012-09-25
[2] 간행물 25 Years of Audi Quattro https://web.archive.[...] AUDI AG, INGOLSTADT, Germany / Audi of America – media site 2012-09-25
[3] 간행물 Always a born winner – 30 years of Audi quattro https://www.audi-med[...] AUDI AG, INGOLSTADT, Germany / Audi-MediaServices.com 2012-09-25
[4] 웹사이트 Pricing and equipment http://www.audifans.[...] 2012-09-25
[5] 웹사이트 Der Audi V8 (''The Audi V8'') http://www.audiv8.co[...] 2012-09-25
[6] 웹사이트 VW Group Official Parts Catalogue https://www.etkainfo[...] Etkainfo.com 2012-09-25
[7] 웹사이트 Audi V8 (D11/4C) – Technische Daten https://archive.toda[...] Motor Presse Netzwerk 2012-09-25
[8] 웹사이트 Audi V8 3.6 (1988–1994) https://web.archive.[...] 2012-09-25
[9] 웹사이트 Audi V8 1998 – 1994 http://www.autoevolu[...] 2012-09-25
[10] 웹사이트 The luxury class – The V8 https://web.archive.[...] 2012-09-25
[11] 웹사이트 V8 (model) – Knowledgebase https://web.archive.[...] Audifans.com 2012-09-25
[12] 웹사이트 Audi V8 Avant http://www.traumauto[...] 2012-09-25
[13] 웹사이트 Der Motor (''The Engine'') http://www.audiv8.co[...] 2012-09-25
[14] 웹사이트 Audi V8 4.2 (1991–1993) https://web.archive.[...] 2012-09-25
[15] 문서 Image of 4.2 V8 Audi 2012-09-25
[16] 웹사이트 Hot cars http://www.lov2xlr8.[...] Lov2xlr8.no 2012-09-25
[17] 서적 Audi V8 quattro Owner's Manual: 1991 http://www.bentleypu[...] Audi AG 2012-09-25
[18] 웹사이트 Die innenumgriffene Scheibenbremse (UFO) (''The 'inside to attack' disc brakes (UFO)'') http://www.audiv8.co[...] 2012-09-25
[19] 웹사이트 Crikey! Look at these brake discs? (with image) https://web.archive.[...] 2012-09-25
[20] 웹사이트 Anti-lock Braking System (ABS) G-Force Sensor Modules https://web.archive.[...] Switch Out 2012-09-25
[21] 웹사이트 The DTM season 1990 https://web.archive.[...] 2012-09-25
[22] 서적 Car: The Definitive Visual History of the Automobile https://books.google[...] Penguin
[23] 서적 Audi R8 https://books.google[...] Veloce Publishing Ltd
[24] 웹사이트 The DTM season 1991 https://web.archive.[...] 2012-09-25
[25] 웹사이트 DTM history at the Audi museum mobile http://www.audiworld[...] AudiWorld 2012-09-25
[26] 웹사이트 Mercedes 190 E 16v https://web.archive.[...] 2012-09-25
[27] 뉴스 Annual Report 1990 https://www.volkswag[...]
[28] 뉴스 Annual Report 1992 https://www.volkswag[...]
[29] 뉴스 Annual Report 1994 https://www.volksw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